明心寶鑑/명심보감(직)

6.안분편(安分篇)

efootprint 2020. 4. 1. 23:44



2020. 4.2(목)

[1] 景行錄云(경행록운) 知足可樂(지족가락)이요 務貪則憂(무탐즉우)니라.

경행록(景行錄)에 이르기를(), "만족()함을 알면() ()히 즐겁고(), ()하는데 힘쓰면() () 근심()이니라."고 하였다

  • (발 족) , 족하다, 넉넉하다 

  • (즐길 락, 노래 악, 좋아할 요) 즐기다, 음악, 좋아하다

  • (힘쓸 무) 힘쓰다, 구하다, 업무 

  • (법칙 칙, ) 법칙, ,


 2020.4.3(금)

[2] 知足者(지족자)貧賤亦樂(빈천역락)이요 不知足者(부지족자)富貴亦憂(부귀역우)니라.

만족()함을 아는() ()는 가난하고() 천하여도() ()한 즐거울() 것이요. 만족()을 알()지 못하는() ()는 부()하고 귀()하여도 또()한 근심() 뿐이니라.

  • (가난할 빈) 가난하다, 부족하다

  • (천할 천) 천하다, 낮다

  • (부유할 부) 부유하다, 부자

 (귀할 귀) 귀하다, 신분이 높다


2020. 4.6(월)

[3] 濫想(남상)徒傷神(도상신)이요 妄動(망동)反致禍(반치화)니라.

분수에 넘치는() 생각(想)은 다만() 정신(神)만 상()하게 하고, 멋대로의() 행동()은 도리어() 재앙()에 이르느니라().

  (넘칠 람) 넘치다, 지나치다

  • (생각 상) 생각, 생각하다

  • (무리 도) 무리, 헛되이, 다만

  • (움직일 동) 움직이다, 행동

  • (돌이킬 반) 돌아오다, 도리어

  • (이를 치) 이르다, 이루다


2020. 4.7(화)

[4] 知足常足(지족상족)이면 終身不辱(종신불욕)하고 知止常止(지지상지)終身無恥(종신무치)니라.

만족함()을 알아() 항상() 만()하면 평생초록() 몸(身)이 ()되지 아니하고(), 그칠()줄 알아(知) 항상() 그치면() 평생초록() 몸(身)에 부끄러움()이 없느니라()

 • (떳떳할/항상 상) 떳덧하다, 항상

 • (욕될 욕) 욕되다, 더럽히다

 • (그칠 지) 그치다, 멈추다

 • (마칠 종) 마치다, 끝내다, 죽다

 - 終身(종신) 죽을 때까지

 (부끄러울 치) 부끄러움, 치욕


2020. 4.8(수)

[5] 書曰(서왈) 滿招損(만초손)하고 謙受益(겸수익)이니라.

()에 말하기를(), "차면(滿) 손실()을 부르()고 겸손하면() 이익()을 받느니라()."고 하였다.

 • 滿(찰 만) 차다, 가득하다, 교만하다

 • (부를 초) 부르다, 초래하다

 • (겸손할 겸) 겸손하다, 공손함

 • (받을 수) 받다, 얻다


2020. 4.9(목)

[6] 安分吟曰(안분음왈) 安分身無辱(안분신무욕)이요 知幾心自閑(지기심자한)이니 雖居人世上(수거인세상)이나 却是出人間(각시출인간)이니라.

안분음(安分吟)에 말하기를(), "분수()에 편안하면() ()에 욕됨()이 없고(), 기미(幾)를 알면() 마음()이 스스로() 한가()하나니 비록 사람() 세상(世上)에 살아도() 도리어() 이것()이 인간(人間)에서 벗어나는() 것이니라."고 하였다.

  • 安分吟(안분음) ()나라 때의 시로 분수(分數)에 만족함을 노래함

  • (읊을 음) 읊다, 시가(詩歌)

  • (한가할 한) 한가하다, 느긋하다

 (몇 기) 몇, 얼마, 기미, 낌새, 조짐 

  • (인간/대 세) 인간, 세대, 세상

  • (물리칠 각) 물리치다, 도리어

  • (사이 간) 사이, 동안, 간첩

 - 人間(인간) 인간계(人間界)


2020. 4.10(금)

[7] 子曰(자왈) 不在其位(부재기위)不謀其政(불모기정)이니.

공자()가 말하기를() "() 지위()에 있지() 않거든() () 정사()를 꾀()하지 말라()" 하였다.

  • (있을 재) 있다, 존재하다

  • (그 기) , 그것, 아마도

  • (자리 위) 자리, 직위

  • (꾀 모) , 꾀하다, 살피다

  (정사 정) 정사, 직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