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43

10주차 2교시: 열린대화방(성찰 & 마무리)

5주차에는 사진을 남기지 못했네요.[08. 돌다리도 두드린다 09. K-사자성어(1)] "회자정리 거자필반"은 불교적 철학을 담은 사자성어로, "만난 사람은 반드시 헤어지고, 떠난 사람은 반드시 돌아온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인생의 무상함과 순환의 법칙을 강조하며, 만남과 이별의 필연성을 수용하라는 교훈을 전달합니다. "회자정리"는 부처님의 마지막 유언에서 유래했으며, "거자필반"은 후대에 덧붙여진 표현으로 보입니다. 실제 불경에서는 "회필유리(會必有離)"만 언급되며, "거자필반"은 한국에서 덧붙여 만들어진 것이라고 합니다.. 구약의 전도서에서 지혜자는 말합니다. 모든 것에 기한이 정해져 있고 만사에 정한 때가 있음을 단호할 정도로 반복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범사에 기한이 있고 천..

10주차1교시: 실행의 힘

"모든 성공의 열쇠는 실행이다." (파블로 피카소)"행동하는 사람 2%가 행동하지 않는 사람 98%를 지배한다.(동기부여 전문가, 지그 지글러)"세일즈에 특별한 비결은 없다. 어떻게 해야 세일즈 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내가 다른 사람들보다 다른 점이 있다면 해야 하는 일들을 반드시 그리고 꾸준히 실천한다는 것 뿐이다." (삼성생명 판매왕, 예영숙) 모든 실행과 행동에는 시간이 투입됩니다. 심지어 실행(행동)이 없어도 시간은 갑니다. 행동을 바꾼다는 것은 시간 사용을 바꾼다는 것과 같은 이야기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시간 사용에 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아래 양식의 상세 내용은 학습 시간에 배포한 자료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1) 표준 모델은 다양한..

9주차 2교시 :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 家(집 가) = 宀(집 면) + 豕 (돼지 시) : 옛날에는 돼지가 소중한 재산으로 , 집 안(宀:갓머리 )에서 돼지(豕)를 보호하고 길러 집안 각종 행사에 사용함 --> 한 집안, 집”의 뜻으로 쓰임▶ 和(화할 화) = 禾(벼 화) + (口입 구; 먹다) 곡식을 여럿이 (나누어)먹다 --> 화목하다 = 禾(벼 화; 곡식) + 口(입 구) : 식량(禾)이 있고 소통(口)이 활발하면 --> 화목하다 ▶ 萬(일만 만) = 상형문자 : 꼬리를 번쩍 든 전갈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전갈이 알을 많이 낳는다고 하여 '일만'을 뜻함 ▶ 福(복 복) = 회의문자 : 示(보일 시; 제사 제단) + 畐(가득할 복: 항아리에 술이나 물건이 가득 차 있는 모습을 그린 것 ) 신에게 술과 고기를 올려 제사를 지내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