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漢字)/한자,한문 입문 10

부수 위치에 따른 명칭

부수 위치에 따른 명칭 : 부수는 한자에서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서 8개의 서로 다른 명칭으로 불려진다. →攵(등글월문) 칠복, 글월문/ 夂(뒤져올 치=3획) 攵(칠 복)과 夂(뒤져올 치)는 보시다시피 다른 모양입니다. 攵 은 4획으로 쓰고, 夂 는 3획으로 씁니다. → 宀 (집 면) **** ‘집면 머리’라고 해야 하는 것 아닌가? 관습적으로 집 면 → 艹(초두머리) **** ‘풀초머리’라고 해야 하지 않나? 관습적으로 초두머리 책받침은 辶(쉬엄쉬엄 갈 착)의 착을 책으로 잘못 굳은 것

疊字(첩자)와 疊語(첩어)

竝疊(병첩) 한자와 疊語(첩어) ▣ 첩자(疊字) 한자는 수 많은 의미를 별도의 자형으로 새롭게 만든 뜻을 지니고 있는 표의문자(表意文字)입니다. 여러 가지 글자를 만드는 원리 가운데 의미의 결합으로 새로운 의미를 도출해내는 회의(會意)의 개념은 다소 까다로운 방법이기는 하지만, 기존에 만든 글자를 중복해서 표현하면 의미의 이해를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바로 '나란하게 쌓았다'는 의미의 병첩(竝疊) 혹은 중첩(重疊)으로 표현된 글자들입니다. [ 문자학적으로는 同體會意(동체회의)에 해당합니다.] 조선시대 초기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이 5세때 당시 임금이었던 세종(世宗)과 함께 이 중첩자 내기를 해서 세종을 이겼다는 일화가 전해질 정도로 예전부터 한자의 흥미로운 대상이기도 했습니다. 여기서는 병첩..

한문의 해석 순서

한문의 해석 순서 ▣ 해석 순서 자의(字義) → 품사 → 문장성분 → 구두법(句讀法) → 현토(懸吐) → 해석 한문을 올바르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자의 뜻과 품사를 알아야 하고, 문장성분을 정확히 파악해야 하며, 구두법, 현토 등을 적절하게 적용해야 한다. 아래 문장을 가지고 해석 순서를 알아보자. 君子之言寡而實 小人之言多而虛 1. 자의를 알아본다. 한자어의 의미에도 유의해야 한다. 君: 임금 군, 子:아들 자, 之: 어조사 지, 言:말씀 언, 寡: 적을 과, 而: 말이을 이 實: 열매 실, 참 실, 小: 적을 소, 人: 사람 인, 多: 많을 다, 虛: 빌 허 2. 품사를 알아본다 君子, 言, 小人: 명사 之: 개사(介詞: 여기서는 후치사로서 ‘~의’로 쓰임) 寡, 實, 多, 虛: 형용사 而: 접속..

한문 문장의 구조와 해석 순서

한문 문장의 구조와 해석 순서 한문의 기본 구조(짜임)는 4가지로 크게 나뉘며, 한문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는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이다. ■ 기본구조 1.주어+서술어 : 주술 문형은 서술어의 종류에 따라 세가지 형태가 있다. (1)주어+서술어(동사) ~이 ~이다. →化開 : 꽃이 피다 (2)주어+서술어(형용사) ~이 어떠하다. → 水淸 : 물이 맑다 (3)주어+서술어(명사) ~은 ~이다. → 孔子聖人 : 공자는 성인이다. 2.주어+서술어+목적어 → 吾植木 : 나는 나무를 심는다 3.주어+ 서술어 +목적어 (1)주어+서술어(자동사)+보어 → 上有天 : 위에는 하늘이 있다. → 靑出於藍 : 푸른 색이 쪽에서 나온다. * 자동사와 보어 사이에는 전치사가 놓인다. * 있다, 없다, 쉽다, 어렵다 등의 자..

한자의 필순

① 위에서 아래로 쓴다.( 三, 言, 工, 亡, 高 ) ②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川, 仙, 州, 外, 側 ) ③ 좌우가 대칭이 되는 글자는 가운데 획을 먼저 쓰고, 왼쪽, 오른쪽 순으로 쓴다. ( 小 , 水, 樂, 永 ) - 그러나 불화(火)의 경우 좌우를 먼저 쓰고, 가운데를 쓴다. ④ 가로획과 세로획이 교차할 때에는 가로획을 먼저 쓴다.( 十, 木, 古, 支, 井 ) ⑤ 삐침 별(丿)과 파임 불(乀)이 만날 때에는 삐침을 먼저 쓴다. ( 人, 大, 更, 史, 公, 父 ) ⑥ 둘러싼 모양의 글자는(몸 부수) 바깥쪽 둘레를 먼저 쓴다.( 月, 用, 同, 問 ) ⑦ 가운데를 꿰뚫는 획은 가장 나중에 쓴다.( 事, 中, 車, 肅 ) ⑧ 허리를 긋는 획은 가장 나중에 쓴다.( 母, 女, 毋 ) ⑨ 위에..

한자의 구성원리:육서(요약)

▶ 상형(象形) - 日, 月, 山, 川, 門, 母, 心 어떤 물체의 모양을 본떠서 개별적인 뜻을 나타낸 자형(字形)으로 한자를 형성하는 기본 문자 ▶ 지사(指事) – 一, 二, 上, 下, 天, 本, 中 상형(象形)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추상적인 개념을 선이나 점 등의 도형적 기호를 써서 만든 문자 ▶ 회의(會意) - 林(임), 明(명), 信, 東=日+木, 孝= 老+子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글자를 뜻(意)에 따라 모아서(會) 하나의 문자를 만들어 다른 뜻을 나타낸 문자 ▶ 형성(形聲) – 江(강), 河(하), 城(성), 誠(성), 問(문), 雲(운) 뜻을 나타내는 부분(形)과 음을 나타내는 부분(聲)을 결합하여 다른 뜻을 가진 글자로 만든 문자 ▶ 전주(轉注) – 惡(악, 오), 樂(악, 락, 요), 復..

한자의 구성원리: 육서(六書)

1.象形(상형)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 ·인체의 형상 : 人, 女, 首, 目, 自, 耳, 口, 止 (사람 인, 계집 여, 머리 수, 눈 목, 스스로 자, 귀 이, 입 구, 발 지) ·천문지리의 형상 : 日, 月, 雲, 雨, 山, 川, 水, 州, 雷(날 일, 달 월, 구름 운, 비 우, 뫼 산, 내 천, 물 수, 시내 주, 우뢰 뢰) ·동식물의 형상 : 犬, 象, 馬, 鳥, 牛, 魚, 草, 木, 瓜, 禾, 黍, 粟, 竹(개 견, 형상 상, 말 마, 새 조, 소 우, 물고기 어, 풀 초, 나무목, 오이 과, 벼 화, 기장 서, 조 속, 대나무 죽) ·器物(기물) 쪽의 형상 : 井, 門, 舟, 冊, 鼎, 衣, 刀, 戈, 車, 琴, 弓(우물 정, 문 문, 배 주, 책 책, 솥 정, ..

한자의 기원과 변천

이 글의 내용은 아래 주소에 있는 '네이버 지식백과'의 내용을 옮긴 것입니다. terms.naver.com/entry.nhn?docId=2271519&cid=51213&categoryId=51213 ▣ 한자의 기원 4대 문명에 속하는 나라들은 일찍이 자기만의 문자를 만들었다. 이집트는 신성문자가 있고 고대 바빌로니아인은 설형문자를 썼으며, 고대 인도에서는 팔라와문자와 카로슈티문자를 만들었다. 고대 중국의 문자는 한자이다. 오래된 문자 중 한자만이 유일하게 아직까지 사용된다. 한자는 각각이 한 폭의 그림과 흡사하며, 중국민족의 지혜와 문화를 담고 있다. 중국 문자의 기원에 대해서는 많은 전설이 전해온다. 중국민족의 시조라고 전해지는 복희(伏羲)가 팔괘(八卦)를 발명하였다고 한다. 팔괘에서 한자가 생겨났다...

한자의 3요소와 변천

▣ 한자의 3요소: 形(형), 音(음), 義(의) ▣ 서체의 변화 오랜 역사를 가진 한자는 시대를 거치면서 문명의 발전과 사회적 환경에 따라 변화를 거듭했다. 한자의 최초 모습은 기원전 약 1,3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 상商(또는 은殷)나라의 갑골문으로부터 시작된다. 갑골문은 시기적으로 가장 빨리 문자의 형태를 갖춘 한자의 모습이다. 갑골문에 이어 청동기 물에 글자를 새기는 금문(金文), 즉 종정문(鐘鼎文)이 유행하는데 서주(西周) 시기는 청동기 금문의 전성시대라 할 수 있다. 금문 이후로 춘추전국시대에 들어서면 전국문자(戰國文字)가 등장하는데, 전국문자는 다시 진(秦)나라 문자인 대전(大篆, 주문(籒文)으로도 불림)과 진나라 외 여섯 나라에서 사용된 '육국문자(六國文字)'가 있었다. 이러한 문자의 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