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漢字)/한자,한문 입문

한문의 해석 순서

efootprint 2020. 6. 17. 09:10

한문의 해석 순서

 

▣ 해석 순서

 

자의(字義) → 품사 → 문장성분 → 구두법(句讀法) → 현토(懸吐) → 해석

 

한문을 올바르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자의 뜻과 품사를 알아야 하고, 문장성분을 정확히 파악해야 하며, 구두법, 현토 등을 적절하게 적용해야 한다. 아래 문장을 가지고 해석 순서를 알아보자.

君子之言寡而實 小人之言多而虛

1. 자의를 알아본다. 한자어의 의미에도 유의해야 한다.

   君: 임금 군,   子:아들 자,   之: 어조사 지,   言:말씀 언,   寡: 적을 과,

   而: 말이을 이   實: 열매 실, 참 실,  小: 적을 소,   人: 사람 인,

   多: 많을 다,   虛: 빌 허

 

2. 품사를 알아본다

   君子, 言, 小人: 명사

   之: 개사(介詞: 여기서는 후치사로서 ‘~의’로 쓰임)

   寡, 實, 多, 虛: 형용사

   而: 접속사

 

3. 문장성분을 파악한다.

   君子之言: 주어,   寡而實: 술어,

   小人之言: 주어,   多而虛: 술어

 

4. 구두법을 적용해서 문장을 의미 단위로 나눈다.

   君者之言, 寡而實, 小人之言, 多而虛

 

5. 현토(토 달기)를 통해 의미단위 간의 관계를 파악한다.

  君者之言은 寡而實하고, 小人之言은 多而虛니라.

 

6. 해석: 우리 말의 의미를 적용하고 우리말 어순으로 풀어낸다.

   군자의 말은 적으나 참되고, 소인의 말은 많으나 헛되다.

 

- 출처: <이이화, 이이화의 한문공부>

'한자(漢字) > 한자,한문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수 위치에 따른 명칭  (0) 2020.06.18
疊字(첩자)와 疊語(첩어)  (0) 2020.06.17
한문 문장의 구조와 해석 순서  (0) 2020.06.17
잘못 쓰이고 있는 사자성어(예)  (0) 2020.06.17
한자의 필순  (0) 2020.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