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事多思,落書一步 5

라틴어 명언(모음)

해마다 연말이 가까워지면 회자(膾炙)되는 말이 있습니다. 바로 교수신문이 뽑은 그 해의 사자성어(四字成語)지요. 2020년도에 선정된 사자성어는 '나는 옳고 상대는 틀렸다'는 '아시타비(我是他非)' 였습니다. 이는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이라는 신조어 '내로남불'을 한자어로 옮긴 것으로 사자성어보단 신조어에 가깝습니다. 어떻든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이라는 말 보다 '내로남불' 이라고 하면 무언가 재치와 흥미를 느끼게 되고, 같은 의미지만 '아시타비(我是他非)'라는 한자어(?)까지 동원하니 더 그럴듯해 보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속담이나 격언, 고사성어(古事成語)를 사용하는 이유 중의 하나가 여기에 있지 않을까요? 웬지 고상해 보이고, 유식해 보이기 때문이라는 것을 굳이 감출 ..

일과 삶의 균형(WLB: Work & Life Balance)

바탕글 출처: 이진우, 직장에는 삶이 없다? “일을 하지 않을 때는 집에 있고,일을 할 때는 집에 없다.” 자본주의사회의 모순을 예리하게 분석한 마르크스의 이 명제는 오늘날 후기 자본주의 시대의 핵심 화두인 ‘워라밸’의 문제점을 잘 드러낸다. ‘일과 삶의 균형’을 뜻하는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은 개인의 행복한 삶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기업의 생산성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직장에서 일하는 것도 삶의 한 부분인데 워라밸을 강조하는 것을 보면,직장에서의 활동은 진정한 삶이 아니라는 인식이 깔려 있는 듯하다. 워라밸은 시실 일과 가정의 균형을 말한다. 우리가 흔히 쓰는 ‘알바’는 원래 아르바이트(arbeit)를 줄인 말로,한국어에 동화되어 한국어처럼 사용되지만 어..

분노의 긍정적 힘

[참고의 글] ■ 발분저서[ 發憤著書 ]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사전적인 의미로 풀어 본다면 '억울한 일을 당해 마음이 자극되어 명작을 남긴다'는 이야기이다.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로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고, 유사한 문학 관념으로는 당대 한유(韓愈)의 '불평즉명(不平則鳴)' 송대 구양수(歐陽修)의 '시궁이후공(詩窮而後工, 시인은 어려운 일을 당해야 시가 훌륭해진다)' 등이 있다. 사마천은 그가 흉노(匈奴)와의 전투에서 투항했던 어느 장수를 변호하다 황제의 노여움을 사서 사형에 처해지게 되었다. 그는 사형 대신 거세형을 택했는데, 이는 유교 사회에서의 실질적인 목숨을 포기한 것이나 같다. 이 같은 절망에도 불구하고 그는 『사기』를 완성했다. 사마천은 서문에서 서백(西伯)이 『주역(周易)..

절대우위 전략

절대우위 전략 여러 해 전에 상영된 미국 영화 중에〈거짓말의 발명The Invention of Lying〉이라는 영화가 있다. 주인공 마크 벨리슨은 사람들이 아직 거짓말을 할 줄 모르는 청정사회에 살고 있는 시나리오 작가였다. 거짓말을 할 줄 모르는 사회였으니 시나리오의 소재도 사실적인 것에 한정될 수 밖에 없었을 것이고, 그런 시나리오가 재미있을 리 만무했다. 결국 그는 회사에서 해고되고 사랑하던 여자 '애나’로부터도 버림 받게 된다. 실업자가 된 그는 밀린 집세를 내기 위해 은행에 갔지만 시스템이 다운된다. 잔고를 묻는 은행원의 질문에 그는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잔고 300달러를 800달러로 부풀려 말하고서 800달러를 인출한다. 최초의 거짓말이었다. 이때부터 거짓말의 위력을 깨달은 그는 거짓말을 이용..

욕(欲)과 욕(辱)

▣ 자원 풀이 ▶ 欲(하고자 할 욕) 欲자는 ‘~하고자 하다’나 ‘바라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欲자는 谷(골 곡)자와 欠(하품 흠)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谷자는 물이 흐르는 계곡을 그린 것으로 ‘골짜기’라는 뜻을 갖고 있다. 이렇게 골짜기를 그린 谷자에 입을 벌린 欠자가 더해진 欲자는 마치 큰 계곡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받아 마시려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그래서 欲자는 본래 과할 정도의 의욕이라는 의미에서 ‘욕심’이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하지만 후에 欲자가 ‘~하고자 하다’나 ‘바라다’와 같은 ‘욕망’을 뜻하게 되면서 지금은 여기에 心(마음 심)자를 더한 慾(욕심 욕)자가 ‘욕심’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참고로 실제 쓰임에서는 欲자와 慾자를 크게 구분하지는 않는다.(네이버 한자사전) 욕(欲)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