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 6

10주차 2교시: 열린대화방(성찰 & 마무리)

5주차에는 사진을 남기지 못했네요.[08. 돌다리도 두드린다 09. K-사자성어(1)] "회자정리 거자필반"은 불교적 철학을 담은 사자성어로, "만난 사람은 반드시 헤어지고, 떠난 사람은 반드시 돌아온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인생의 무상함과 순환의 법칙을 강조하며, 만남과 이별의 필연성을 수용하라는 교훈을 전달합니다. "회자정리"는 부처님의 마지막 유언에서 유래했으며, "거자필반"은 후대에 덧붙여진 표현으로 보입니다. 실제 불경에서는 "회필유리(會必有離)"만 언급되며, "거자필반"은 한국에서 덧붙여 만들어진 것이라고 합니다.. 구약의 전도서에서 지혜자는 말합니다. 모든 것에 기한이 정해져 있고 만사에 정한 때가 있음을 단호할 정도로 반복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범사에 기한이 있고 천..

10주차1교시: 실행의 힘

"모든 성공의 열쇠는 실행이다." (파블로 피카소)"행동하는 사람 2%가 행동하지 않는 사람 98%를 지배한다.(동기부여 전문가, 지그 지글러)"세일즈에 특별한 비결은 없다. 어떻게 해야 세일즈 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내가 다른 사람들보다 다른 점이 있다면 해야 하는 일들을 반드시 그리고 꾸준히 실천한다는 것 뿐이다." (삼성생명 판매왕, 예영숙) 모든 실행과 행동에는 시간이 투입됩니다. 심지어 실행(행동)이 없어도 시간은 갑니다. 행동을 바꾼다는 것은 시간 사용을 바꾼다는 것과 같은 이야기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시간 사용에 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아래 양식의 상세 내용은 학습 시간에 배포한 자료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1) 표준 모델은 다양한..

9주차 2교시 :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 家(집 가) = 宀(집 면) + 豕 (돼지 시) : 옛날에는 돼지가 소중한 재산으로 , 집 안(宀:갓머리 )에서 돼지(豕)를 보호하고 길러 집안 각종 행사에 사용함 --> 한 집안, 집”의 뜻으로 쓰임▶ 和(화할 화) = 禾(벼 화) + (口입 구; 먹다) 곡식을 여럿이 (나누어)먹다 --> 화목하다 = 禾(벼 화; 곡식) + 口(입 구) : 식량(禾)이 있고 소통(口)이 활발하면 --> 화목하다 ▶ 萬(일만 만) = 상형문자 : 꼬리를 번쩍 든 전갈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전갈이 알을 많이 낳는다고 하여 '일만'을 뜻함 ▶ 福(복 복) = 회의문자 : 示(보일 시; 제사 제단) + 畐(가득할 복: 항아리에 술이나 물건이 가득 차 있는 모습을 그린 것 ) 신에게 술과 고기를 올려 제사를 지내는 ..

9주차 1교시 : 친구야 반갑다

오래 전 영국에서는 "맨체스터에서 런던 까지 가장 빨리 가는 방법은 무엇인가?" 라는 내용으로 현상공모를 한 적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 공모에 일반인 들은 물론이고, 수학자와 교통학자 등 내로라하는 많은 사람들이 응모를 했다는군요. 그래서인지 제출된 해답도 지도상의 지름길을 측정해서 비행기, 기차, 자동차, 오토바이 등의 교통수단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답안이 등장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정작 1등을 한 사람은 평범한 보통 사람이었고 답 또한 뜻밖이었습니다. 그것은 "좋은 친구와 함께 가는 것이다."였습니다. 놀라운 것은 누구나 그 결정에 수긍했다는 점입니다. 좋은 친구와 함께 가는 것이 어떻게 해서 답이 되었을까요? 여러 가지 의미가 있었을 것입니다. 친한 친구와 함께 간다면 이런 저런 이야..

8주차 2교시 : 부자의 길

▶ 小(작을 소) = 상형문자: 작은 파편,작은 낟알, 물방울이 튀기는 모양▶ 富(부유할 부) = 형성문자 : 宀(집 면;집) + 畐(가득할 복=항아리에 술이나 물건이 가득한 모양) ; '집안에 술이 가득한 사람', '재물이 가득한 사람‘ --> 부자▶ 由(말미암을 유) = 밭 전(田) + 뚫을 곤(丨) : 밭에서(田) 곡식의 싹(丨 )이 나오는 데에는 다 이유(말미암음)가 있다. -> 말미암다.甲은 뿌리가 내려가는 것, 由는 싹이 나오는 모습▶ 勤(부지런할 근) = 진흙(堇=黃+土) +力(힘 력) : 진흙(菫)에서 벗어나려면 힘써(力) 부지런히 몸을 놀려야 한다 --> 부지런하다 (2025년 2.28 뉴스) 한국인이 생각하는 부자의 재산 규모가 평균 33억으로 나타났다. 약 5년 전보다 약 10억..

8주차 1교시 : 사는 게 전쟁, 싸움의 정석

삶이 전장터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출근부터 귀가까지 삶의 장면 하나 하나가 전쟁을 닮았다는 것이지요.현대 사회는 일자리, 돈, 인정, 관계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경쟁을 요구합니다. 취업 경쟁, 승진 경쟁, 입시 경쟁 등 심지어는 전쟁같은 사랑까지 . . . . . 그래서 “살아남기 위해” 남과 싸우고 앞서야 하는 상황이 일상화되어 있습니다. 전쟁이 사람들에게 물리적·정신적 상처를 남기듯, 삶의 과정에서도 마음의 상처, 관계의 단절, 건강의 악화로 말미암아 '총맞은 것처럼 뻥뚫린 가슴을 안고' 살아갑니다.이 단원에서는 실제의 전쟁과 관련된 사자성어를 통해 생존경쟁에서 살아남는 것을 뛰어넘어 삶의 소중한 시간들을 가치있게 살아갈 수 있는 사고방식과 지혜를 살피려고 합니다. ▶ 忘(잊을 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