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漢字)/한자,한문 입문

한자의 3요소와 변천

efootprint 2020. 6. 15. 20:54

한자의 3요소: 形(형), 音(음), 義(의)

 

▣ 서체의 변화

 

오랜 역사를 가진 한자는 시대를 거치면서 문명의 발전과 사회적 환경에 따라 변화를 거듭했다. 한자의 최초 모습은 기원전 약 1,3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 상商(또는 은殷)나라의 갑골문으로부터 시작된다. 갑골문은 시기적으로 가장 빨리 문자의 형태를 갖춘 한자의 모습이다. 갑골문에 이어 청동기 물에 글자를 새기는 금문(金文), 즉 종정문(鐘鼎文)이 유행하는데 서주(西周) 시기는 청동기 금문의 전성시대라 할 수 있다.

금문 이후로 춘추전국시대에 들어서면 전국문자(戰國文字)가 등장하는데, 전국문자는 다시 진(秦)나라 문자인 대전(大篆, 주문(籒文)으로도 불림)과 진나라 외 여섯 나라에서 사용된 '육국문자(六國文字)'가 있었다. 이러한 문자의 난립은 결국 진시황의 문자통일 정책에 의해 소전(小篆)으로 통일된다. 이후로 한자는 전 지역을 관철하는 획일적 문자사용의 계기가 되었으며, 이러한 문자 통일은 곧 중국을 하나로 묶는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하였다. 오늘날 '한자'라는 이름을 얻게 된 한(漢)대에는 예서(隸書)가 새롭게 유행하였으며, 이를 기점으로 한자는 한층 정형화된 해서(楷書)로 발전하여 당대에 들어서면 한자의 자형과 서체의 표준화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한자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고형화되지 않고 다양한 변화의 과정을 겪고 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한자의 개혁방안을 마련하여 기존 한자의 획을 줄이는 방식의 간체자인 간화자(簡化字)를 만들어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도 그 예가 되며, 근래 디지털 시대의 환경을 고려한 다양한 컴퓨터 자형의 개발 역시 예외가 아니다. 또한, 역사적으로 등장한 다양한 글자체는 서법의 발전과도 무관하지 않다. 각 시대를 대변하는 한자는 예술적 아름다움을 강구하며 일정한 서체로 정착하였고, 이러한 서체에 대한 탐구는 한자를 발전시키는 동력이 되었다.

 

--> [한자] 중등한문 내신수업, 1.한문의 기초(한자와 한문, 한자의 발전, 한자의 3요소) - YouTube

'한자(漢字) > 한자,한문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못 쓰이고 있는 사자성어(예)  (0) 2020.06.17
한자의 필순  (0) 2020.06.15
한자의 구성원리:육서(요약)  (0) 2020.06.15
한자의 구성원리: 육서(六書)  (0) 2020.06.15
한자의 기원과 변천  (0) 2020.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