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象形(상형)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
·인체의 형상 : 人, 女, 首, 目, 自, 耳, 口, 止 (사람 인, 계집 여, 머리 수, 눈 목, 스스로 자, 귀 이, 입 구, 발 지)
·천문지리의 형상 : 日, 月, 雲, 雨, 山, 川, 水, 州, 雷(날 일, 달 월, 구름 운, 비 우, 뫼 산, 내 천, 물 수, 시내 주, 우뢰 뢰)
·동식물의 형상 : 犬, 象, 馬, 鳥, 牛, 魚, 草, 木, 瓜, 禾, 黍, 粟, 竹(개 견, 형상 상, 말 마, 새 조, 소 우, 물고기 어, 풀 초, 나무목, 오이 과, 벼 화, 기장 서, 조 속, 대나무 죽)
·器物(기물) 쪽의 형상 : 井, 門, 舟, 冊, 鼎, 衣, 刀, 戈, 車, 琴, 弓(우물 정, 문 문, 배 주, 책 책, 솥 정, 옷 의, 칼 도, 창 과, 수레 거, 거문고 금, 활 궁)
2.指事(지사)
상형보다 한 단계 발전한 모습의 것으로 추상적인 것을 지시하게 된 상태를 보여주는 글자 (나누면 글자 아닌 것이 있다.)
獨體指事(독체지사): 一, 上, 下(일, 상, 하)
合體指事(합체지사): 나무(木)+뿌리(부호)=本(본),나무(木)+가지의 끝(부호)=末(말)
3. 會意(회의)
상형이나 지사 등에 속하는 글자를 둘 이상 모아서 하나의 글자를 이루면서 새로운 뜻을 가지도록 한 것(나누면 글자가 된다.)
·武, 信
굳셀무, 믿을신
4. 形聲(형성)
의미의 범주를 표시하는 形符(형부)와 독음의 종류를 표시하는 聲符(성부)를 나 타내는 글자가 결합하여 새로운 글자를 형성하는 것.
(江, 河, 雲)강 강 ,하천 하, 구름 운
왼쪽이 의미부가 되고 오른쪽이 독음부가 되는 左形右聲(좌형우성)
梅, 懼, 軀, 醒, 伴, 鰻, 珂 , 唱, 槍, 村, 姑, 按, 編, 訂(매화 매, 두려워할 구, 몸 구, 깰성, 짝 반, 뱀장어 만, 가지 가, 부를 창, 창 창,마을 촌, 시어미 고, 누를 안, 엮을 편, 바로잡을 정)
오른쪽이 의미부가 되고 왼쪽이 독음부가 되는 右形左聲(우형좌성)
功, 額, 鵬, 鄰, 判, 雞, 郡, 鳩, 雅, 鴨, 剔, 敎, 飄, 攻, 戰, 頂 (공로 공, 이마 액, 붕세 붕, 이웃 린, 쪼갤 판, 닭 계, 고을 군, 비둘기 구, 바를 아, 오리 압, 다를 척, 가르칠 교 회오리바람 표, 칠 공, 싸울 전, 정수리 정)
위가 의미부가 되고 아래가 독음부가 되는 上形下聲(상형하성)
花, 草, 霖, 筐, 鬢, 靑, 完, 窮, 雲, 霜, 筍, 葦, 嶺, 笠, 英, 箭, 箕, 宇, 窩, 霧, 星(꽃 화, 풀 초, 장마 림, 광주리 광, 살쩍 빈, 푸를 청, 완전할 완, 다할 궁, , 구름 운, 서리 상, 죽순 순, 갈대 위, 고개 령, 삿갓 립, 꽃부리 영, 화살 전, 키 기, 집 우, 움집 와, 안개 무 별 성)
아래가 의미부가 되고 위는 독음부가 되는 下形上聲(하형상성)
忠, 妄, 智, 鯊, 驚, 烈, 瞥, 基, 巒, 恭, ,盟, 警, 貨, 辜, 蠢, 煮, 想, 裘, 梨, 燙 (충성 충, 헛될 망, 슬기 지, 상어 사, 놀랄 경, 매울 열, 슬쩍볼 별, 터 기, 메 만, 공손할 공, 맹세할 맹, 깨우칠 경, 물건 화, 허물 고, 꿈틀거릴 준, 삶을 자, 생각 상, 갖옷 구, 배 리, 데울 탕)
안이 의미부가 되고 바깥이 독음부가 되는 內形外聲(내형외성)
悶, 聞, 辯, 問, 辦, 辨(번민할 민, 들을 문, 다툴 변, 물을 문, 판별할 판, 분별할 변)
바깥이 의미부가 되고 안쪽이 독음부가 되는 외형내성(외형내성)
固, 闊, 圃, 衷, 氫, 圍, 囹, 鬨, 病, 廣, 園, 閨,園, 閨, 闕, 裏, 匣, 衕(굳을 고, 뚫린골 활, 남새밭 포, 속마음 충, 수소 경, 둘레 위, 감옥 령, 싸움소리 홍, 질병 병, 넓을 광, 동산 원, 규수 규 ,대궐 궐, 속 리, 궤 갑, 거리 동)
5. 轉注(전주)
·形轉設(형전설):글자의 독음은 그대로 있고 뜻만 바뀜
道(도)는 사람이 다니는 길, 인생의 길 長(장)은 ‘나이가 많은 사람’, ‘우두머리’
音轉設(음전설):뜻과 음이 함께 바뀌는 것
度, 設, 數, 樂, 惡
법도 도/헤아릴 탁, 말씀 설/달랠 세/기쁠 열, 셈 수/자주 삭, 음악악/즐거울락, 악할악/미워할오
6. 假借(가차)
소리는 있고 글자가 없는 것이 있을 때 독음을 가진 글자를 빌림. 令, 長(령, 장)
해당하는 글자가 없어서 한 假借(가차)
來, 求, 豆, 花
올래, 구할구, 콩두, 꽃화
·비슷한 뜻을 빌려서 한 가차(가차)
壹, 西, 朋, 用, 萬, 北, 須, 難, 革, 電 梯
오로지일, 서쪽서, 벗붕, 베풀용, 일만만, 북쪽북, 수염수, 어려울난, 가죽혁, 번개전,사다리제
<엘리베이터>
·독음만을 빌려서 한 假借(가차)
亞細亞(아세아), 獨逸(독일), 佰林(백림), 羅馬(라마), 巴里(파리),
牛頓(우돈), 倍根(배근), 亞里斯多(아리사다), 南無(남무), 裟婆(사파)
※ 추가(22.2.4) : 몰아보기(한자의 기초 공부 모든것) - YouTube
'한자(漢字) > 한자,한문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못 쓰이고 있는 사자성어(예) (0) | 2020.06.17 |
---|---|
한자의 필순 (0) | 2020.06.15 |
한자의 구성원리:육서(요약) (0) | 2020.06.15 |
한자의 기원과 변천 (0) | 2020.06.15 |
한자의 3요소와 변천 (0) | 2020.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