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漢字)/한자,한문 입문

한자의 구성원리:육서(요약)

efootprint 2020. 6. 15. 21:52

▶ 상형(象形) - 日, 月, 山, 川, 門, 母, 心

어떤 물체의 모양을 본떠서 개별적인 뜻을 나타낸 자형(字形)으로 한자를 형성하는 기본 문자

 

▶ 지사(指事) – 一, 二, 上, 下, 天, 本, 中

상형(象形)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추상적인 개념을 선이나 점 등의 도형적 기호를 써서 만든 문자

 

▶ 회의(會意) - 林(임), 明(명), 信, 東=日+木, 孝= 老+子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글자를 뜻(意)에 따라 모아서(會) 하나의 문자를 만들어 다른 뜻을 나타낸 문자

 

▶ 형성(形聲) – 江(강), 河(하), 城(성), 誠(성), 問(문), 雲(운)

뜻을 나타내는 부분(形)과 음을 나타내는 부분(聲)을 결합하여 다른 뜻을 가진 글자로 만든 문자

 

▶ 전주(轉注) – 惡(악, 오), 樂(악, 락, 요), 復(복, 부)

이미 만들어진 문자의 뜻을 유추하고 확장하여 다른 뜻으로 굴리고(轉) 끌어대어(注) 사용하는 문자

 

▶ 가차(假借)– Asia(亞細亞), France(佛蘭西), 코카콜라(可口可樂), dollar(弗)

글자의 본뜻과는 상관없이 음이 같거나 형태가 비슷한 글자를 빌려 써서 사용하는 문자

'한자(漢字) > 한자,한문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못 쓰이고 있는 사자성어(예)  (0) 2020.06.17
한자의 필순  (0) 2020.06.15
한자의 구성원리: 육서(六書)  (0) 2020.06.15
한자의 기원과 변천  (0) 2020.06.15
한자의 3요소와 변천  (0) 2020.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