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사자성어

타인한수[ 他人鼾睡 ] vs 타감작용[他感作用: Allelopathy]

efootprint 2022. 7. 6. 11:39

다른 사람의 코고는 소리라는 뜻으로, 자기 영토 안의 다른 세력을 그냥 둘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다를 타      : 사람 인      : 코고는 소리 한      : 잘 수

 

송사()》에 다음의 이야기가 나온다. 송()나라 태조()는 오대()가 분열한 뒤를 이어 송나라를 창건하고 중국 대륙을 거의 통일하여 황제가 되었다. 그런데 양쯔강 남쪽 일대인 강남 지방만은 5대10국() 남당()의 후주()인 이욱()이 금릉(:난징)을 근거지로 하여 독립을 유지하고 있었다. 송나라 태조는 피를 흘리지 않고 평화적으로 합병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이욱은 듣지 않았다. 오히려 서현을 사신으로 보내 "강남 땅은 죄가 없으니 공격하지 말아달라"고 요청해 왔다. 그런데, 사신으로 온 서현이 융통성없이 '강남무죄론'만을 고집스럽게 반복해서 되뇌이자, 이에 화가 난 송 태조는 칼자루에 손을 얹으며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

"강남무죄는 알고 있다. 그러나 천하는 일가()이므로, 침대 곁에서 다른 사람이 코고는 소리는 들을 수 없다[.   ]." 즉, 강남 땅이 죄가 없는 것은 알고 있으나, 천하가 일가이므로 강남 땅 역시 송나라 영토인데 그곳에 다른 세력을 그냥 묵과할 수 없다는 말이다. 송 태조의 이 말에 서현은 겁을 먹고 물러갔고, 금릉은 얼마 후 송의 대군 앞에 항복하고 말았다. 여기서 '타인한수'라는 말이 나왔으며, '지척에 있는 다른 세력을 그냥 놓아둘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타인한수 [他人鼾睡]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타감작용[他感作用: Allelopathy]

식물에서 일정한 화학물질이 생성되어 다른 식물의 생존을 막거나 성장을 저해하는 작용을 말하며 때로는 촉진하는 작용도 포함된다.

오스트리아 출신의 식물학자 한스 몰리슈(Hans Molisch)에 의해 처음 사용된 식물용어이다. 그는  1937년 독일에서 출간된 자신의 저서 《Der Einfluss einer Pflanze auf die andere - Allelopathie (The Effect of Plants on Each Other) 》에서 타감작용에 대해 처음 언급하였다. 식물이 성장하면서 일정한 화학물질이 분비되어 경쟁되는 주변의 식물의 성장이나 발아를 억제하는 작용을 말한다. 이 억제를 통하여 자신의 생존을 확보하고 성장을 촉진하는 결과를 얻게되는 작용이다. 하지만 때로는 자신의 생존에 이익이 되는 주변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기도 하며 타감작용은 이를 포함한다.

타감작용은 상호 대립되는 식물끼리 땅속의 영양분을 빨리 또는 보다 많이 흡수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면서 진화되었다. 서로 경쟁관계에 있는 식물을 함께 식재하면 서로 경쟁하기 때문에 성장이 빨리지기도 하며 대립식물을 고사시키기도 한다. 예를 들면 외래종인 가시박은 타감물질을 분비하여 주변의 식물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하며, 결국 말라죽게 한다. 소나무도 타감작용을 하는데 햇빛을 많이 받기 위해 다른 나무들이 자라는 것을 방해하는 물질을 내품는다. 우리나라 야산에서는 소나무와 참나무가 서로 경쟁한다. 단풍나무도 타감작용을 하는 대표적인 수종으로 알려져 있다. 가을에 단풍나무의 잎이 붉은색으로 물드는 것은 기존의 학설은 엽록소가 분해되면서 발생한 현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타감작용을 위한 것을 밝혀졌다. 붉은색의 단풍잎에는 다른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독소가 있어 잎이 땅에 떨어지면 단풍나무 잎에서 안토시아닌이라는 물질이 분비되어 다른 식물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것이다. 이난 단풍나무의 씨앗이 땅에 떨어지면 단풍나무를 제외한 다른 나무의 발아를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외 허브 식물의 독특한 향기도 타감물질에 해당하며 마늘에 포함된 알리신(Allicin), 고추의 매운 성분을 만드는 켑사이신(Capsaicin), 등도 모두 대표적인 타감물질에 해당한다. 이런 타감물질은 인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도 많아 신약개발에도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이러한 식물의 특성을 이용하여 친환경농법이 개발되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타감작용 [Allelopathy, 他感作用]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