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 정답을 정(定)해요
나도 명언(名言)을 남길 수 있다!
사랑(愛)이란?
▷ 사랑은 (것) 이다.
▷ 사랑은 와(과) 같다.
“ 사랑은 명사가 아니라 행위동사다.“
- 에릭 프롬,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e)에서
사랑에 답하다/나태주
예쁘지 않은 것을 예쁘게 봐주는 것이 사랑이다.
좋지 않아도 좋게 생각해 주는 것이 사랑이다.
싫은 것이 있어도 잘 참아주며 처음만 그런것이 아니라
나중까지 아주 나중까지 그렇게 하는 것이 사랑이다
고린도전서 13:4~7
사랑은 오래 참고 사랑은 온유하며 시기하지 아니하며 사랑은 자랑하지 아니하며 교만하지 아니하며
무례히 행하지 아니하며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며 성내지 아니하며 악한 것을 생각하지 아니하며
불의를 기뻐하지 아니하며 진리와 함께 기뻐하고
모든 것을 참으며 모든 것을 믿으며 모든 것을 바라며 모든 것을 견디느니라
‘之’의 용법
● 가다 : 지남지북(之南之北) 소진지초(蘇秦之楚)


숙제:
오고가며 길거리에서 보게 되는 간판 5개의 내용을 5번씩 한자로 쓴 다음 교재 175페이지의 해당 날짜에 그 결과를 ○표시로 체크해 주세요.
예시)
'김밥 천국' 간판을 봤다면 " 天國"을, '윤 OO 치과' 간판을 봤다면 ' 齒科'를 쓰시면 됩니다. 한자를 쓸 때 한자필기인식사전(=네이버 한자사전)을 참고하기 바라며, 이 때
모양과 소리, 뜻 그리고 부수, 총획수와 획순(=쓰기순서), 자원풀이(=학습정보) 등도 함께 살피시기를 바랍니다.
1주일 동안 매일 5개씩 쓰게 되면 최대 35개의 한자를 쓰면서 익히게 됩니다.(1년을 계속하면 1,820자)
적어도 1주일에 3일(=3회) 이상은 실천하시기를 요망합니다.
학이시습(學而時習) : 배우면서 때맞춰/때때로 익힐 때 기쁨이 커집니다.
불위불성( 不爲不成 ) : 행함이 없으면 아무 것도 이룰 수 없습니다.
'고사성어, 사자성어 > 사자성어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회차2교시: 만사소통(萬事疏通) (3) | 2025.05.28 |
---|---|
3회차 1교시: 근면성실(勤勉誠實) (3) | 2025.05.27 |
2차 1교시: 02. 행복은 내 안에 (0) | 2025.05.17 |
1차2교시(01. 잃어버린 마음을 찾아서) (0) | 2025.05.07 |
사자성어 1차 1교시 (0) | 2025.05.06 |